콘스탄티누스 1세(라틴어: Flavius Valerius Aurelius Constantinus, 272년 2월 27일 - 337년 5월 22일)는 중기 로마 황제(재위 306년 - 337년)이다. 흔히 기독교사에서는 콘스탄티누스 대제로 통칭하며, 동방 정교회는 모두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여 성 (대) 콘스탄티누스(그리스어: Μέγας Κωνσταντίνος, 라틴어: Sanctus Constantinus Magna)로 호칭한다. 306년 7월 25일 브리타니아의 요크에서 병사들에 의해 군주로 추대되어 죽는 날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첫 번째 기독교인 로마 군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치세는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는데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에 대한 관용을 선포하여 기독교에 대한 박해를 끝내고 사실상 정식 종교로 공인했다. 또한 교회의 압류된 재산을 돌려 주고 이에 대한 국가의 보상을 정했다. 그는 또한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기독교의 발전에도 기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324년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비잔티움을 ‘새로운 로마(Nova Roma)’로 공표하고 330년 공식적으로 로마 제국의 새로운 수도로 정하였다. 337년, 그가 죽자 비잔티움은 ‘콘스탄티누스의 도시’라는 뜻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개명했고, 세계 최초의 기독교 도시로서 이후 천년이 넘는 세월동안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로서 존재하게 된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272년 또는 273년 2월 27일 로마 제국의 모이시아 수페리오르 속주(현재의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나이수스에서 장군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와 그의 첫째 부인 성녀 헬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성녀 헬레나는 여관 주인의 딸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일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92년 아버지는 헬레나를 버리고 제국 서방 구역의 정제인 막시미아누스의 딸인 테오도라와 결혼했다.
아버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사두정치체제에서 2명의 부제 중에 하나로 임명된 직후 젊은 콘스탄티누스는 동방 정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휘하로 들어가 니코메디아에서 복무했다.
305년 2명의 정제인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가 은퇴하고 콘스탄티우스가 막시미아누스의 뒤를 이어 서방의 정제로 승격하게 되자 콘스탄티누스는 즉각 니코메디아를 떠나 갈리아에 있는 아버지의 휘하로 들어갔다. 부제에는 세베루스와 막시밀리아누스 다이아가 추대되었는데 사실상 부제의 위치(즉, 정제의 아들)에 있었던 콘스탄티누스와 막시미아누스의 아들인 막센티우스는 권력에서 소외된 셈이었다.
1년 후인 306년 7월, 브리타니아 원정에 나섰던 콘스탄티우스가 에보라쿰(지금의 요크)에서 병사하자 그의 휘하의 장병들은 즉각 콘스탄티누스를 정제로 추대하였다.
병사들에 의한 콘스탄티누스의 정제 승계는 당시 사두정치 체제 아래에서 적법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콘스탄티누스는 동방 정제인 갈레리우스에게 자신의 권좌승계에 대해 확인을 요청하였고, 갈레리우스는 콘스탄티누스가 아버지의 영토를 승계하도록 하되 부제로 인정하고 서방 정제로는 세베루스를 임명하였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흔히 첫 번째 그리스도인 로마 군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치세는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는데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에 대한 관용을 선포하여 기독교 박해를 끝내고 사실상 기독교를 공인했다. 또한 기독교 교회의 압류된 재산을 돌려주고 이에 대한 국가의 보상을 정했다. 비록 311년 선제 갈레리우스가 이미 밀라노 칙령과 비슷한 기독교에 대한 관용을 선포하였지만, 콘스탄티누스 1세의 적극적인 기독교 진흥책으로 로마에서 기독교의 위상은 새로이 정립되었다.
학자들 사이에서 콘스탄티누스가 그리스도인이 된 것이 언제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모후인 성녀 헬레나의 영향 아래서 자라 어린 시절에 이미 기독교에 귀의했다는 설과 인생의 여정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그리스도인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인 헬레나는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제 자신은 40세가 되어서야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불렀고 사망 직전에 처음으로 세례를 받았다.
한편, 콘스탄티누스는 오직 자신의 정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기독교를 이용하였을 뿐이라는 점과 권력을 위해 무고히 아들과 아내를 무참히 살해한 잔혹성으로 그의 행실이 그리스도의 정신과 거리가 멀다는 점 등에서 그를 그리스도인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가 존재한다.백:출처 다만 유의할 것은, 그 살해 원인이 첫 번째 황후 미네르비나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맏아들 크리스푸스와 두 번째로 맞이한 황후 파우스타 사이에 이루어진 모자상간 또는 모자상간 누명 때문일 수 있다는 점이다. 그 근거 중 하나로 황후 파우스타는 콘스탄티누스의 모후 성녀 헬레나의 지령에 따라 콘스탄티누스의 명령으로 집행한, 로마에 전무후무하게 유례가 없는 "뜨거운 목욕탕에서의 질식사"를 당하였는데[2], 이는 당시 성행하던 임신중절 방법 중 하나였다고 한다. 이들은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담나티오 메모리아이 형에 처해져서 그들에 관한 모든 기록이 말살되고 이후 이들에 대한 언급이 일절 금지되었다.
그는 그리스도인에게 보낸 서신에서 자신의 성공이 확실히 하느님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고 자신의 치세 동안 교회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하여 많은 교회를 세웠으며 그리스도인을 관료로 중용하고 선제 디오클레티아누스 시절의 기독교 박해 때 몰수한 재산을 모두 되돌려 주었다. 특히 라바룸을 처음 사용한 것, 성 베드로 대성당을 세운 것, 그와 그의 어머니 헬레나에 대한 수많은 전설 등을 볼 때 그가 기독교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그의 기독교 진흥 정책은 다소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다. 수많은 내전을 거쳐 권력을 잡게 된 콘스탄티누스에게 권좌를 위협하는 것은 용납되지 않았다. 로마 황제는 교회의 권위 내지는 하느님의 권위에 의해 임명된다는 원칙을 세우고 따라서 그것은 인간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이로써 그의 권위는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백:출처
콘스탄티누스는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기독교의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때문에 동방정교회에서는 그를 성인으로 공경하며, 헬레나와 함께 5월 21일을 축일로 지정하였다.